북한산명품코스/불광동기점
[북한산 등산코스] 삼각산의 오지탐험 제53탄: 음산한월한계곡
미스터산
2011. 9. 21. 08:15
[북한산 등산코스] 삼각산의 오지탐험 제53탄: 음산한월한계곡
44. 상세한 길 안내
-- 진관사를 지나 담장 끝부분에서 왼쪽으로 바로 오른다- 진관사 뒷동산
-- 능선같지 않은 능선을 타고 오르면 바위가 앞을 턱 막고 서있는다. 병풍처럼 옆으로 넓게 펼쳐져 있다.
넘기 좋은 곳을 찾아 넘어야 한다. 담장을 넘듯.
-- 담장을 넘으면 바로 응봉능선 끝자락이다.
-- 능선을 따라 5분정도 진행하다가 왼쪽으로 빠져야 한다. 삼천사로 내려서는 능선이다. 철조망이 쳐져 있다.
-- 잠깐 내려서다가 두갈래로 나뉘어 지는데, 오른쪽으로 진행한다.
-- 지능선이다. 조금 내려서다 다시 오른쪽으로 틀어 지능선하나를 더 넘어서 계곡으로 내려선다.
-- 계곡을 빠져 나오면 삼천사 계곡과 합류한다.
-- 삼천사 계곡길을 따라 오른다.
-- 부왕동암문 갈림길, 즉 이정표가 나오면 문수봉 방향으로 진행한다.
-- 15분쯤 오르면 월한계곡 입구가 나온다. 방심하면 바로 지나친다. 오르다가 왼쪽에 계곡이 나타나면, 그것이 바로 월한계곡이다.
-- 월한계곡으로 끝까지 오른다. 계속 계곡으로 오르면 되리라.
-- 계곡의 끝은 나한봉 안부이다.
-- 안부까지 가지말고 안부 가기전에 오른쪽으로 틀어 나한봉능선으로 향한다.
-- 나한봉 능선이 나오면 그 능선을 타고 나한봉까지 오른다.
-- 나한봉에서 716봉을 오른다.
-- 716봉에서 나장대지 능선 즉, 행궁지로 향한다.
-- 능선의 끝부분을 조금 지나면 왼쪽에 멋진 앉기좋은 소나무의자가 있다. 그 쪽으로 하산한다.
-- 이곳이 바로 부왕사지능선이다. 지나치기 쉬우니까 주의를 바란다.
-- 능선을 내려서면 바로 부왕사지가 나온다.
-- 이후 산성계곡으로 하산하다가 지루해질쯤이면 덕암사 입구가 나온다.
-- 덕암사로 진행하여 시구문을 지나 효자동마을회관으로 하산한다.
진관사 뒷동산의 첫번째 맞이하는 작은 슬렙
거의 올라 진관사를 조망한다.
응봉에 올라서면 의상능선이 한눈에 보인다
삼천사가 발아래 나타난다
산초나무와 열매-가을이다
삼천사로 내려서는 계곡에 있는 암반석-점심자리이다.
여기서 문수봉으로 방향을 잡는다
월한계곡 입구
나한능선의 첫번째 릿지구간- 쉽지않음
뒤돌아 오른길을 조망한다
삼천사계곡
의상능선
716봉의 이정표-행궁지로 향한다.
의상능선-나한봉에서볼때와 다르다
북한산 본부를 향해 한장 담는다
남장대지 안내판
부왕사지
부왕사지
부왕사지 왼쪽에 있는 옛날 임금님 한약을 다릴때 쓰던 우물
부왕사지 아래의 들꽃 군락지
바로 이꽃이다
사진제공:운무님
여러분 수고하셨습니다. 산행 끝입니다.
코스개요 : 진관사-응봉능선-삼천사계곡-청수동계곡-월한계곡-나한봉안부-나한능선-나한봉-716봉-남장대지능선-소나무의자-부왕사지능선-산성계곡-덕암사-효자동마을회관 들머리 : 은평구 진관외동 진관사 날머리 : 고양시 덕양구 효자동 마을회관 소요시간 : 6시간 등산분류 : 릿지+워킹(2%+98%) 등산화 : 릿지화 반릿지화 준비물 : 식수2리터, 중식, 행동식, 슬링줄3미터1개 계절적합성 : 여름-가을-봄-겨울 문화재 : 진관사, 부왕사지, 중성문-덕암사, 시구문 경유능선 : 응봉능선, 나한능선, 부왕사지능선 뷰포인트 : 응봉끝자락, 나한봉, 716봉, 남장대지능선 코스상세안내 : 2. 교통: 전철 3호선 연신내역 3번출구로 나와 뒤로돌아 택시를 타도 되고, 버스를 타도 된다. 진관사 입구에서 하차하면된다. 3. 들머리: 이 코스의 들머리는 진관사이다. |
44. 상세한 길 안내
-- 진관사를 지나 담장 끝부분에서 왼쪽으로 바로 오른다- 진관사 뒷동산
-- 능선같지 않은 능선을 타고 오르면 바위가 앞을 턱 막고 서있는다. 병풍처럼 옆으로 넓게 펼쳐져 있다.
넘기 좋은 곳을 찾아 넘어야 한다. 담장을 넘듯.
-- 담장을 넘으면 바로 응봉능선 끝자락이다.
-- 능선을 따라 5분정도 진행하다가 왼쪽으로 빠져야 한다. 삼천사로 내려서는 능선이다. 철조망이 쳐져 있다.
-- 잠깐 내려서다가 두갈래로 나뉘어 지는데, 오른쪽으로 진행한다.
-- 지능선이다. 조금 내려서다 다시 오른쪽으로 틀어 지능선하나를 더 넘어서 계곡으로 내려선다.
-- 계곡을 빠져 나오면 삼천사 계곡과 합류한다.
-- 삼천사 계곡길을 따라 오른다.
-- 부왕동암문 갈림길, 즉 이정표가 나오면 문수봉 방향으로 진행한다.
-- 15분쯤 오르면 월한계곡 입구가 나온다. 방심하면 바로 지나친다. 오르다가 왼쪽에 계곡이 나타나면, 그것이 바로 월한계곡이다.
-- 월한계곡으로 끝까지 오른다. 계속 계곡으로 오르면 되리라.
-- 계곡의 끝은 나한봉 안부이다.
-- 안부까지 가지말고 안부 가기전에 오른쪽으로 틀어 나한봉능선으로 향한다.
-- 나한봉 능선이 나오면 그 능선을 타고 나한봉까지 오른다.
-- 나한봉에서 716봉을 오른다.
-- 716봉에서 나장대지 능선 즉, 행궁지로 향한다.
-- 능선의 끝부분을 조금 지나면 왼쪽에 멋진 앉기좋은 소나무의자가 있다. 그 쪽으로 하산한다.
-- 이곳이 바로 부왕사지능선이다. 지나치기 쉬우니까 주의를 바란다.
-- 능선을 내려서면 바로 부왕사지가 나온다.
-- 이후 산성계곡으로 하산하다가 지루해질쯤이면 덕암사 입구가 나온다.
-- 덕암사로 진행하여 시구문을 지나 효자동마을회관으로 하산한다.
거의 올라 진관사를 조망한다.
응봉에 올라서면 의상능선이 한눈에 보인다
산초나무와 열매-가을이다
삼천사로 내려서는 계곡에 있는 암반석-점심자리이다.
여기서 문수봉으로 방향을 잡는다
월한계곡 입구
나한능선의 첫번째 릿지구간- 쉽지않음
삼천사계곡
의상능선
의상능선-나한봉에서볼때와 다르다
북한산 본부를 향해 한장 담는다
남장대지 안내판
부왕사지
부왕사지 왼쪽에 있는 옛날 임금님 한약을 다릴때 쓰던 우물
부왕사지 아래의 들꽃 군락지
바로 이꽃이다
노적사 입구의 청운교
사진제공:운무님
여러분 수고하셨습니다. 산행 끝입니다.